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강아지 입 벌림 증상, 호흡기 질환부터 구강 건강 문제까지 확인해야 할 점

반려동물 건강 관리

by 펫친구 2025. 4. 14. 14:18

본문

728x90
반응형

반려견을 키우다 보면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일 때 걱정이 앞서기 마련입니다.

특히 강아지가 하루 종일 입을 벌리고 있다거나, 물그릇에 거품이나 탁한 물이 생긴다면

단순한 행동 변화가 아닌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과 반려인이 취할 수 있는 조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img

 

 


🐶 강아지가 입을 벌리고 있는 이유는?

 

 

1. 구강 건강 이상 (치아 문제, 잇몸 질환)

노령견이나 소형견의 경우, 치주염이나 치아 손상, 구내염 등 구강 관련 질환이 자주 발생합니다. 이런 질환이 있으면 통증으로 인해 입을 다물지 못하고 벌린 채 유지하게 됩니다. 또한 입안에서 통증이 느껴질 경우 침이 많이 흐르거나 구취가 날 수 있습니다.

🔍 이런 증상이라면 의심해보세요:

  • 구취가 심하게 난다
  • 침을 과도하게 흘린다
  • 딱딱한 사료를 잘 씹지 못한다
  • 음식 섭취량이 줄었다

 

 

2. 호흡기계 문제

강아지가 입을 벌린 채 숨을 쉬는 것은 호흡기나 심장 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.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기관지염, 폐렴, 심부전 등이 있습니다. 이러한 질환은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입을 벌리고 헐떡이는 호흡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.

🩺 추가로 확인해볼 증상:

  • 기침을 자주 한다
  • 가슴 쪽에서 잡음이 난다
  • 활동량이 감소한다
  • 혀나 잇몸 색이 푸르스름하다

 

 

 

3. 열사병 또는 고열

기온이 높거나 실내 온도가 더울 경우, 강아지가 체온을 낮추기 위해 입을 벌리고 헐떡이는 것일 수 있습니다. 그러나 하루 종일 지속된다면 이는 단순한 체온 조절이 아니라 체온 상승 또는 감염의 가능성도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 

 

 


💧 물컵에 거품과 탁한 물이 생기는 이유는?

 

 

강아지의 물그릇에 거품이 생기거나 색이 탁해지는 경우는 구강 내 질환, 침 과다분비, 감염성 질환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
 

1. 침의 점성이 높아졌을 경우

입속 염증이나 탈수 상태에서는 침이 끈적하게 변하고 물을 마시는 과정에서 물그릇에 거품이 섞인 탁한 흔적이 남게 됩니다.

2. 입을 물속에 담그며 마시는 습관

강아지가 입 전체를 물그릇에 넣고 마시는 습관이 있다면, 타액과 음식 찌꺼기가 함께 섞여 물이 쉽게 오염될 수 있습니다. 특히 입안에 염증이 있으면 거품처럼 보이는 침 분비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3.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

드물게 전염성 질환(예: 켄넬코프, 전염성 간염 등)으로 인해 침의 성분 변화 및 입 주위 분비물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
🚨 이럴 땐 바로 병원에 가세요

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동물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:

  • 하루 이상 입을 계속 벌리고 있다
  • 침 흘림이 과도하다
  • 입 주변을 지속적으로 핥거나 긁는다
  • 물 마신 후 항상 거품이 생긴다
  • 호흡이 거칠고 기침을 동반한다
  • 식욕이 감소하거나 무기력하다

 

 

 

 


💡 보호자가 해줄 수 있는 대처법

 

✔️ 구강 위생 관리

정기적인 치석 제거, 치약을 이용한 양치, 구강 전용 간식 등을 통해 구강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✔️ 충분한 수분 공급

여러 개의 물그릇을 배치하고 자주 물을 갈아주면 청결한 수분 섭취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✔️ 스트레스 완화

미용 후 갑자기 증상이 시작됐다면, 스트레스 또는 외상일 수 있으므로 편안한 환경 제공과 함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728x90

 

 

강아지가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이거나 입을 벌리고 있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, 이는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건강의 적신호일 수 있습니다. 특히 입속 질환이나 호흡기 문제는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므로, 보호자는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 시 빠르게 동물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.

반려견의 작은 변화도 소중히 여기는 마음, 그것이 최고의 보호자입니다.

728x90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